728x90
데이터 모델
: 현실 세계의 정보를 인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
: 데이터 모델에 표시해야 할 요소에는 구조, 연산, 제약조건이 있음
- 구조: 데이터베이스에 논리적으로 표현될 대상으로서의 개체 타입과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 /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을 표현하는 요소
- 연산: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요소
- 제약조건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
✨ 데이터 모델 절차
1) 요구조건 분석
: 도출된 요구사항 간 상충을 해결하고 범위를 파악하여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분석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요구 분석
2) 개념적 설계/개념적 데이터 모델
-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, 개념적으로 표현하여 개념적 구조를 도출하는 데이터 모델
-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DB 종류와 관계 없음
- 주요 산출물: 개체관계 다이어그램(ERD: Entity Relationship Diagram)
3) 논리적 설계/논리적 데이터 모델
- 업무의 모습을 모델링 표기법으로 형상화하여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데이터 모델
4) 물리적 설계/물리적 데이터 모델
- 논리 데이터 모델을 특정 DBMS의 특성 및 성능을 고려하여 물리적인 스키마를 만드는 일련의 데이터 모델
- 테이블 / 인덱스 / 뷰 / 파티션 등 객체를 생성
- 성능 측면에서 반 정규화를 수행
* 데이터 모델링 절차
1) 요구사항 분석 2)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3)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4)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
'나혼자 스터디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상현상 / 정규화 (0) | 2022.06.29 |
---|---|
논리 데이터 모델 검증 (0) | 2022.06.29 |
UI 흐름 설계 (0) | 2022.06.29 |
UML (0) | 2022.06.29 |
UI 프로토타입 제작 및 검토 (0) | 2022.06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