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개발일지/Web Development

Javascript 기초 문법 - 1

by jungwonyu 2022. 1. 24.
728x90

▪️ 변수: 값을 담는다.

  • 변수 대입( a = 5 )의 의미: "오른쪽에 있는 것을 왼쪽에 넣는 것!" (5를 a라는 변수에 넣는다.)
  • let으로 변수 선언
let num = 20
num = 'Garden'

//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박스
// 한 번 선언했으면, 다시 선언하지 않고 값을 넣음
  • 사칙연산, 문자열 더하기 가능
let a = 1
let b = 2

a+b // 3
a/b // 0.5

let first = 'Garden'
let last = 'Yu'

first+last // 'GardenYu'

first+' '+last // 'Garden Yu'

first+a // Garden1 -> 문자+숫자를 하면, 숫자를 문자로 바꾼 뒤 수행
  • 자료형 - 리스트: 순서를 지킴 / [ ]로 씀
let a_list = []  // 리스트를 선언. 변수 이름은 역시 아무렇게나 가능!

// 또는,

let b_list = [1,2,'hey',3] // 로 선언 가능

b_list[1] // 2 를 출력
b_list[2] // 'hey'를 출력

// 리스트에 요소 넣기
b_list.push('헤이')
b_list // [1, 2, "hey", 3, "헤이"] 를 출력

// 리스트의 길이 구하기
b_list.length // 5를 출력
  • 자료형 - 딕셔너리: 키(key)-밸류(value) 값의 묶음 / {}로 씀
let a_dict = {}  // 딕셔너리 선언. 변수 이름은 역시 아무렇게나 가능!

// 또는,

let b_dict = {'name':'Garden','age':21} // 로 선언 가능
b_dict['name'] // 'Garden'을 출력
b_dict['age'] // 21을 출력

b_dict['height'] = 170 // 딕셔너리에 키:밸류 넣기
b_dict // {name: "Garden", age: 21, height: 170}을 출력
  • 연산자
let a = 100 // 선언

a % 8 // 나눗셈의 나머지 구하기 
// 4

a % 3
// 1

a < 150
//true

a > 200
//false

a == 100 // a는 100과 같다 "=="
//true

a != 100 // a는 100과 같지 않다 "!="
//false
  • (특정 문자로)문자열 나누기 - 1
let myemail = 'sunsetinmygarden@gmail.com'

let result = myemail.split('@') // ['sunsetinmygarden','gmail.com']

result[0] // sunsetinmygarden
result[1] // gmail.com

let result2 = result[1].split('.') // ['gmail','com']

result2[0] // gmail
result2[1] // com

myemail.split('@')[1].split('.')[0] // gmail -> 간단하게 쓸 수도 있다!
  • (특정 문자로)문자열 나누기 - 2
let txt = '서울시-마포구-망원동'

let names = txt.split('-'); // ['서울시','마포구','망원동']

// 특정 문자로 합치고 싶은 경우

let result = names.join('>'); // '서울시>마포구>망원동' (즉, 문자열 바꾸기!)

'개발일지 > Web Develop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script 연습하기  (0) 2022.01.24
Javascript 기초 문법 - 2  (0) 2022.01.24
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기초  (0) 2022.01.24
HTML, CSS 기본 내용  (0) 2022.01.24
웹의 동작 개념  (2) 2022.01.24